• 최종편집 2023-09-22(금)

충남연구원, 한국농촌사회학회와 학술 교류 협약 체결

충남연구원 “충남 지역 농어촌 발전을 위한 공동 정책 연구 수행할 터”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2.06.24 16:22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보도자료.jpg
충남연구원이 한국농촌사회학회와 학술·연구 교류 협약을 체결하고, 농어촌 기본 소득 실현 공동 세미나를 열었다

 

27일 오늘 충남연구원이 한국농촌사회학회와 연구원에서 학술·연구 교류 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으로 충남지역 농어촌의 발전과 새로운 활로 모색을 위한 공동 연구 및 학술행사를 개최하고, 지식 정보 공유 등의 다양한 교류 활동을 추진하기로 했다.

유동훈 충남연구원장은 “특히 농어촌 지역은 고령화, 지역 소멸 등 현재 직면하는 많은 문제가 있다”며 “이번 한국농촌사회학회와의 협약을 계기로 충남 지역 농어촌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들이 도출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양 기관은 협약 체결을 기념하며 ‘농어촌 주민의 기본 소득 보장,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를 주제로 공동 세미나도 함께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농어촌 주민의 경제 사회적 기본권을 강화하고, 농어촌의 공익적 가치를 보장하기 위해 논의 중인 ‘농어촌 기본 소득’에 대한 지자체 차원의 실현 방안을 공동 모색한다는 데 의미를 두었다.

충남연구원 박경철 책임연구원 이 ‘농어촌 기본 소득의 필요성 및 실현 방안’을, 건국대 산학협력단 이창한 교수가 ‘경기도 농촌기본소득 시범사업의 내용과 의의’를 주제로 각각 내용을 발표했다.

이에 김흥주 한국농촌사회학회장의 좌장으로 중국인민대 김병철 교수, 공주대 김정태 교수, 농어촌기본소득운동전국연합 서봉균 정책국장, 충남연구원 전지훈 박사 등이 참석해 농어촌 기본 소득 실현을 위한 다양한 토론을 이어갔다.

박경철 책임연구원은 “그동안 정부는 국가균형발전정책의 하나로 많은 지역 개발 사업들을 추진해왔지만, 도시와 농어촌 간 격차는 더욱 커지고, 농어촌의 인구 절벽은 심각해지고 있다”며 “이제는 농어촌 기본 소득처럼 사람을 중심에 둔 소득 보장 정책으로 방식을 전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태그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충남연구원, 한국농촌사회학회와 학술 교류 협약 체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User-agent: * Disallow: /nad/ Disallow: /member/ Disallow: /modules/ Disallow: /plug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