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연구원 “지역별 화재위험수준 진단에 따른 맞춤형 정책 대안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남도 지역안전지수 화재분야 등급 현황(2021년 기준)

최근 충청남도의 5년간 화재분야 지역안전지수는 3~4등급 수준(1~5단계로 구분, 1등급일수록 안전)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주민 1만명 당 화재 발생 건수는 충남이 평균 9.8건으로 전국 평균 7.5건보다 많고, 최근 5년간 사망자 발생 비율은 충남이 30.1%로 전국 평균 14.4%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최근 충남연구원 재난안전연구센터 센터장 조성은 ‘충남 시군별 지역안전지수 화재분야 취약지역과 개선방안’을 주제로 발간한 정책지도에서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인구수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군단위 지역에서 더욱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모든 도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해 지역별 위험수준 진단을 통한 맞춤형 정책 대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충남지역 화재 발생은 주거지역 65.7%, 농어촌지역 53.9%, 단독주택 56.4%였고,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52%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리고 최근 5년간 화재신고 접수 후 소방차 화재현장 도착시간은 평균 6분 42초로 평균 이동 거리는 4.56km였다.

조성 센터장은 “화재진압을 위한 출동 시간이 8분(골든타임)을 초과하게 되면, 사망자 및 재산 피해 발생은 2배 이상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며 “도내 지역별로 보면, 예전에는 도시지역이 군 단위 지역보다 골든타임 내 도착률이 높았으나 도로 혼잡 등 시부의 교통 여건이 불리해지고, 군부의 개선도가 높아지면서 최근에는 시부의 도착 시간이 길어지고 군부는 단축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또한 “상대적으로 원거리 출동이 불가피한 공주시, 태안군, 금산군 등은 안전센터 위치 조정과 같은 구조적 방법이 병행돼야 하지만 예산상의 어려움 등이 있어 현실적으로는 행정복지센터 등에 소방장비 및 인력 파견 운영과 같은 방안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타 지역에 비해 출동 도착 시간이 늦고 구조 실적도 낮게 나타나는 청양군, 논산시 등은 출동체계와 동선에 대한 종합적 분석 및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경제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중요기사
문화
모바일버전